본문 바로가기

Edward's labs

(198)
9. [Tutorial] 아두이노 PWM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PWM은 디지털 신호를 이용해 아날로그 회로처럼 제어하는 방법이다. 말 그대로 펄스의 폭을 변조한다는 것이다. PWM으로 주파수를 제어하는 것은 다른 얘기다. 아날로그 신호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인 값의 변화를 보이는 반면, 디저털 신호는 "0 또는 1"의 값만을 갖는다. 즉, 펄스폭변조(PWM)방식을 이용하면 디지털 신호 (1 or 0)을 마치 아날로그 신호처럼 동작하여 다양한 값으로 출력할 수 있다. ---------------------------------------------------------------------------------------------------------------------------------- 그럼 어떻..
8. [Tutorial] 아두이노 아날로그 실습(가변저항) 이번에는 아날로그 실습에 대해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아날로그에 대해 모르겠다면, 이전 포스팅했던 글을 참조바란다.6. [Tutorial] 아두이노 아날로그 이론(ADC) - http://openstory.tistory.com/62 아날로그 실습은 가변저항이라는 것을 이용하여 진행하겠다. 가변저항(Potentiometer)은 사용자가 직접 저항값을 임의로 바꿀 수 있는 저항기를 말한다.가변저항은 위 그림처럼 생겼다.그리고 가변저항은 3개의 핀을 가진다. (1: VCC, 2: Vout, 3:GND) 가변저항은 왼쪽 그림의 2번핀을 기준으로 2번핀을 왼쪽으로 돌리냐 오른쪽에 돌리냐의 따라 저항 값이 변하게 된다.가변저항의 전체저항을 RL이라고 하였을 때, 2번을 기준으로 왼쪽을 R1, 오른쪽을 R2이라고 부르..
7. [Tutorial] 아두이노 아날로그 심화(ADC) 이번 시간에는 아날로그 심화편으로 좀 더 ADC를 깊게 파헤쳐보자. 단순히 아두이노를 사용하기위한 목적이라면 SKIP하고 바로 실습편으로 넘어가도 된다.아두이노 아날로그 실습(가변저항) - http://openstory.tistory.com/64 ---------------------------------------------------------------------------------------------------------------------- ADC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시 언급하겠다.ADC란 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아날로그 신호를 MCU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사용된다.즉,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바꿔서 MCU에서 사용할 수..
6. [Tutorial] 아두이노 아날로그 이론(ADC) 이번에는 아날로그 이론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두이노는 아날로그 입력만 가능하다. 그렇다면 출력은?? 아두이노 출력은 PWM을 사용한다.PWM은 이 이후에 작성하도록 한다. 궁금하면 구글에서 검색해보길 추천한다. 다시 돌아와서, 아두이노는 아날로그 입력만 가능하다.그래서 아날로그 입력을 사용하기 위해 아두이노 내부에 ADC(Analog Digital Converter) 라는 것이 부착되어 있다. ADC는 말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것이다.아래 그림을 보자.x축을 시간 , y축을 전압으로 본다.아두이노로 아날로그 신호가 입력되어 들어오면, 이를 샘플링하여 양자화를 거쳐 부호화를 하게 된다.위 설명이 이해가 안된다면, 그냥 "아날로그 신호가 아두이노로 입력되면 이러한 것을 이..
5. [Tutorial] 아두이노 스위치 회로와 동작 설명 이번에는 스위치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겠다. 스위치란 ?? 보통 여러종류의 스위치가 존재하지만 스위치는 크게 2 타입으로 나뉜다. 1. 스위치가 동작했을 때, 전류가 흐르는 타입.2. 스위치가 동작했을 때, 전류가 끊어지는 타입. 이 중 범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1번 스위치가 동작했을 때 전류가 흐르는 타입이다. 스위치는 전자기기를 조작할 때 많이 사용된다. 보통 예제에서는 푸쉬(Push)버튼 타입의 스위치를 많이 사용한다. 이를 TACT SW라고도 표현한다. 스위치는 위 사진과 같이 크게 4-pin SW 와 2-pin SW가 있다.동작은 동일하다. 단지 4핀이냐 2핀이냐의 차이이다. 위 회로는 스위치 회로이다. D2에 스위치와 저항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동작을 설명하자면,1. D..
4. [Tutorial] 아두이노 LED와 옴의법칙 동작 설명 아두이노의 PIN 설명에 이어서 LED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겠다. 위 그림과 같이 "LED"는 다이오드의 일종이다.다이오드란, 한 쪽 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다이오드 중 전류를 빛 에너지로 변환 하는 것을 발광 다이오드. 즉, LED(Light Emitting Diode)라 한다. LED는 외부 충격에 대해 강한 내구성과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전압/전류로 밝은 빛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LED는 휴대전화부터 조명기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LED는 2개의 전극 단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자는 극성을 가지고 있다. (위에 LED그림을 보면 애노드와 캐소드로 구분한다.) LED의 사용방법은 전기/전자의 기초 항목인 옴의 법칙을 알면 가능하다.아래에 ..
3. [Tutorial] 아두이노 GPIO(입출력포트)란 무엇인가? 이번 시간에는 드디어 아두이노의 가장 기초적인 예제를 공부하기 전에 아두이노의 PIN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갖겠다. 맨 처음 시간에 아두이노는 하나의 핀을 input/output하는 것을 사용자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었다.잘 모르겠으면 아래 페이지 확인 바란다.0. 아두이노란?: http://openstory.tistory.com/20 이번 시간에는 PIN을 어떻게 input / output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스팅 한다. 가장 먼저, input과 output은 무엇일까?? - intput은 입력이고, output은 출력이다. 그리고 아두이노의 핀을 input / output으로 제어한다는 의미로 "GPIO(General purpose in/output) 또는 입출..
2. [Tutorial] 아두이노 설치하기. 안녕하세요!!Edward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에 코딩을 넣을 수 있는 프로그램인!! IDE를 설치해보려고 합니다!! IDE를 설치하기 이전에 한 가지 히스토리 정보를 공유드릴게요!!원래 아두이노는 1개의 회사로 시작했지만 특허,인간관계 등의 문제로 2개의 회사로 나뉘어 지게 됩니다!! 그게 아래에 보시는 CC와 ORG인데요.1. https://www.arduino.cc/2. https://www.arduino.org/ 하지만 최근 다시 아두이노는 CC로 합병되게 됩니다.그래서 아두이노 IDE는 통합버전인 CC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시면 되요 ^^!! 아두이노 Tool 다운 받는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아요!!1. Arduino.cc에 접속한다.2. SOFTWARE -> DOWNLOADS로 접속한다...